Introduction to Upstage API
Last updated
Last updated
📌 목차
Upstage API Key 발급 절차 안내
Upstage API 제품 소개
Upstage API를 활용하시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API Key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본격적인 발급 절차에 앞서, 먼저 Upstage 콘솔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완료해주시기 바랍니다.
🔗 업스테이지 콘솔 접속
✍️ 회원가입
위 콘솔 화면에서 우측 상단의 Login 버튼을 클릭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해주세요.
구글 계정을 통해 간편하게 가입하세요.
본격적으로 API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Json 형태가 무엇인지 부터 알아보도록 합시다.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은 데이터를 정리된 형태로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사과, 바나나, 오렌지"
라는 문장을 단순한 텍스트로 표현하면 그 안에 뭐가 있는지 일일이 사람이 읽고 해석해야 합니다. 하지만 JSON은 이렇게 정리합니다:
이런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면, 컴퓨터가 각각의 항목을 쉽게 찾고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 비유하자면, JSON은 잘 정리된 도서관이고, 텍스트는 아무렇게나 담아둔 봉지 속 물건들과 같습니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된 기능들의 메뉴판입니다.
우리가 음식점에서 메뉴를 고르듯이, 프로그램도 API를 통해 필요한 기능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메뉴 예시:
“OCR로 문서 내 텍스트만 뽑아줘”
“Solar LLM으로 문서 요약해줘”
API는 이런 요청을 받아들이고, 그에 맞는 결과를 JSON 형식으로 깔끔하게 돌려줍니다.
즉, API는 기능을 요청하는 방법이고, JSON은 그 결과를 전달하는 포맷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
반복되는 업무 처리 작업을 API 호출로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예: Document Parse API를 통해 100개 문서를 일일이 업로드하지 않고, 한 번에 처리 가능
✅ 자동 업데이트 기능
정해진 시간마다 자동으로 API를 호출해 최신 데이터를 가져오게 할 수 있습니다.
예: 하루 한 번 자동으로 Solar LLM으로 기사 내용 요약 및 번역
✅ 다양한 기능의 조합
문서 내용을 추출하여 결과를 번역하거나 요약하는 등의 다른 API와 연동해 복합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합니다.
예: Document Parse로 문서 변환 → 번역 → 요약까지 한 흐름으로 처리
Upstage API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API key를 먼저 발급받아야합니다.
API Key는 특정 사용자를 식별하고, 그 사용자가 Upstage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가해주는 사용자만의 고유한 인증 키입니다.
아래 절차에 따라 안전하게 발급받아 사용해 주세요!
🔗 업스테이지 콘솔 접속
🔍 API Keys 클릭
대시보드에서 API Keys 메뉴를 선택합니다.
➕ Create New Key 클릭
새로운 API Key 생성을 위해 Create New Key를 클릭하세요.
📋 API Key 복사 및 보관
생성된 API Key를 복사하고,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세요!
API Key는 개인 고유 값입니다. 노출 시 타인이 사용할 수 있으니 꼭 주의해 주세요!
💾 복사한 API Key는 개인적으로 안전한 공간에 보관해 주세요.
🚫 노출된 API Key는 타인에 의해 사용될 수 있어 보안에 주의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Upstage 에는 어떤 제품들이 있는 지 알아보러 가볼까요?
Upstage Console에서는 다양한 Upstage 제품들을 직접 실험해보고,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합니다. 아래는 주요 기능들에 대한 소개와 활용 사례입니다.
2.1 💬 [모델] Chat
Upstage의 LLM인 Solar 모델 시리즈를 활용하여 사용자 대화형 인터페이스(챗봇)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생성, 요약, 문맥 이해 등 언어 관련 작업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챗봇, 고객 상담 자동화, 콘텐츠 생성 등에 활용 가능합니다.
2.2 📄 [모델] Document Digitization
문서 기반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모델] Document Parsing
복잡한 문서를 HTML이나 Markdown과 같은 구조화된 텍스트로 자동 변환해주는 모델입니다.
문서 내 단락, 표, 이미지 등을 인식하여 논리적인 순서로 구성하고, LLM이 문서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문서 기반 질의응답, 요약 시스템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 [모델] Document OCR
다양한 형식의 문서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감지하고 추출하는 모델입니다.
여러 언어와 해상도에서 높은 인식 정확도를 보장하며, 스캔 문서나 이미지 기반의 데이터 입력을 자동화할 때 활용됩니다.
2.3 📚 [모델]Information Extraction
문서에서 날짜, 인명, 금액 등 핵심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모델입니다.
정형화된 JSON 형태로 결과를 반환하여, 후속 데이터 처리에 용이합니다.
🌐 [모델] Universal Information Extraction
특정 문서 유형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문서에서 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범용 모델입니다.
미리 정해진 형식이 없는 문서에도 바로 적용 가능하며, 다양한 문서가 섞여있는 환경에서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모델] Prebuilt Information Extraction
송장, 계약서 등 자주 사용되는 문서 유형에 최적화하여 학습시킨 모델입니다.
반복되는 문서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대규모 문서에서 정해진 필드(항목)을 정확히 추출해야 할 때 적합합니다.
2.4 🔧 [기능] Structured Outputs
LLM 모델 응답을 사전에 정해진 형식(JSON 스키마)에 따라 구조화된 형태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추출된 정보를 바로 시스템에 통합하거나 정형화된 리포트 형태로 저장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2.5 🔗 [기능] Function Calling
LLM이 실시간으로 다른 외부 API, 데이터베이스, 자동화 도구 등 다른 도구(Tool)들과 연결되어 일을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날씨, 환율 등 실시간 API를 호출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정보를 검색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며, 실시간 정보 제공, 자동화된 응답 생성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2.6 👁️🗨️ [모델] Embeddings
텍스트를 벡터로 변환하여, 의미 기반 검색이나 유사도 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델입니다.
문장 분류, 클러스터링 등 문맥/의미 기반 비교가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이번 섹션에서는 Upstage API를 사용하기 위한 첫걸음을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 API & JSON이란? : API는 Upstage 제품 등과 같이 쓸 수 있는 기능들의 모음이고, JSON은 그 기능들의 결과를 정리된 형식으로 전달하는 방법입니다.
🔹 Why API? : 업무 자동화, 실시간 처리, 다양한 기능 조합 등 현업에서 효율을 높이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 API 사용을 위한 준비 절차 : 회원가입 → API Key 발급까지 간단한 절차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단, API Key는 꼭 안전하게 보관하고, 보안에 주의해야 합니다.
🔹 Upstage 주요 제품 소개 : Chat, Document Parsing OCR, Information Extraction 등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각 제품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더 자세히 알아보러 가볼까요?
Suwan Kim | AI Edu | Upstage
로 접속해 주세요.
로 이동하세요.
AI Initiative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면, Solar Pro와 Document Parse를 무료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026년 3월 31일) 참여를 원한다면 다음 링크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